본문 바로가기

개발

SOLID

 

예제로 살펴보는 솔리드 원칙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wGWrOpRdu40

 

1. SRP: 단일 책임 원칙, Single Response Principle

2. OCP: 개방 폐쇄 원칙, Open Closed Principle

3. LSP

4. ISP: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,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

5. DIP: 의존 역전 원칙,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 

 

리액트 같은 경우에는 상속 대신 합성을 사용하여 컴포넌트 간에 코드를 재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기 때문에 LSP를 적용할 일은 별로 없다고 한다.

 

내가 이해한 내용

1. 말 그대로 단일 책임 원칙

2. 확장하려고 할 때 원래 코드를 수정할 필요 없어야 한다.

4. 인터페이스 자잘하게 분리해서 정의하고 조합해서 써라.

5. 흐름 잘 지켜라.

 

 

 

 

 

https://ykss.netlify.app/translation/write_solid_react_hooks/

 

(번역) SOLID 원칙으로 리액트 훅 작성하기

원문 : Write SOLID React Hooks SOLID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입니다. 여러 언어와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며,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문서도 많습니다. SOLID에

ykss.netlify.app

 

 

 
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Zustand  (0) 2024.07.15
vercel 백엔드 배포 시 주의사항  (2) 2024.07.14
TypeScript 제너릭  (0) 2024.07.11
쿠키와 웹 스토리지  (0) 2024.07.11
Shadcn UI와 Icons  (0) 2024.07.11